KTX (TGV-K)
![]() |
|
분류 | 동차 > 고속 |
---|---|
길이/폭/높이 | 388000(편성길이) mm / 2904 mm / 4100 mm |
최고속도 | 300 km/h |
제동장치 | 전기(회생/발전) + 마찰 제동 |
제작사 (도입시기) |
1~12호기 : 프랑스 Alstom(1998) 13~46호기 : Rotem (2001~2003) |
전기방식 | AC25,000V, 60Hz |
---|---|
상용감속도 | 3.744 km/h/s |
제어방식 | VVVF인버터(Thyristor) |
비상감속도 | 3.3km/80s |
신호보안장치 | ATC/ATS 장치 |
총 중량 / 축당 중량 |
공차694 / 만차774 t / 17 t |
견인전동기 | 동기전동기(1,130kW×12대) |
대차 | 총 23대; 동력대차 6대, 관절대차 17대 |
기동견인력 | 382KN (20량 편성기준 with 6 M/B) |
대차 제동 | 구동대차-답면제동, 관절대차-디스크제동 |
차체재질 | 강재 mild steel (동력객차, 객차) |
편성 | 20량 1편성 (PC+MT+T(16)+MT+PC) |
정원(좌석) | 935석 |
지난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운행을 시작한 고속열차. KTX는 프랑스 고속철도인 TGV의 기술을 도입한 것으로, 차량은 TGV 제 3세대 모델(TGV-R)과 비슷한 규격이다. 1994년에 도입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차량의 사양은 당시의 기술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 최고속도는 세계적인 수준이나, 동력집중식의 구조상 가속 능력은 비교적 떨어진다. 국내의 간선열차보다 열차의 폭과 길이가 조금 작으며, 관절대차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TGV보다 편성당 량수가 더 많아서, 한번에 무려 900여 명(점보여객기의 두세배)을 수송할 수 있다. 반면 터널 통과시 일어나는 귀울림현상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유럽 방식을 그대로 적용한 고정식 시트 때문에 한동안 역방향 좌석이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KTX는 몇몇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속도와 안락함으로 개통 초기부터 한국의 교통 체계를 혁명적으로 바꾸어 나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