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철도소식 KRiC NEWS

  • home
  • 철도소식
  • 철도뉴스

철도뉴스

이 정보 좋아요 추가 0 페이스북에 공유 트위터에 공유 카카오스토리에 공유 밴드에 공유 즐겨찾기(북마크) 추가 현재페이지 인쇄

부울경, '부산-양산-울산 광역鐵' 예타통과 한 목소리
6월경 예타 결과 발표 예정, 3개 시도 관계부처 방문
"지방소멸 위기 극복, 광역권 대동맥 역할 '광역철도' 필수"



2021년 개통한 부산 - 울산 간 동해선 전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총 연장 48.7km로, 고무차륜형 경전철 시스템으로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자료사진. / 박장식 객원기자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 결과가 다음달쯤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3개 광역 지자체가 '부울경 1시간 생활권' 실현을 위해, 사업이 조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에 건의했다.

부산시는 울산시, 경상남도와 함께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찾아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와 조기 구축을 공동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 철도사업은 2021년 8월,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5개) 중 하나로 선정되면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2023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다.

부산 노포-양상 웅상-울산 KTX울산역을 잇는 총 연장 48.7km의 철도를 신설하며, 정거장 11곳을 만든다.

사업비는 국비 1조 7060억 원, 지방비 7312억 원 등 약 2조 5000억 원 규모다. 고무차륜형 경전철(AGT)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부울경 핵심축을 연결하고 부산 1호선, 정관선, 양산선, 울산 1호선 등 4개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된다.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형성하고, 산업·물류·배후단지 기능을 활성화해 지방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개 시도는 이번 방문에서,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철도 중심의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망 확충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광역권 간 대동맥 역할을 할 광역철도가 개통되기 위해선 이번 예타조사 통과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특히, 비수도권인 부울경은 수도권에 비해 광역철도망이 미비해 단일 경제·생활권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부울경 3개 시도는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연결돼 부울경 광역철도망을 완성할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사업도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힘을 합치기로 했다.

동남권 광역철도는 KTX울산역-양산 북정·물금-김해 진영을 잇는 총 연장 54.6km의 복선전철로 시속 180km급 전동차(EMU-180)를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동남권 광역철도 사업비는 국비 2조 1009억 원, 지방비 9004억 원 등 약 3조 12억 원 규모다. 지난해 10월 기재부 예타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됐으며, 올해 12월경 예타조사를 마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철도가 개통되면 울산과 경남을 단거리로 연결할 수 있다. 또 서울산, 양산, 김해 지역에서 가덕도신공항으로 가는 급행 철도망이 구축돼 접근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해 6월 박형준 부산시장,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부울경 초광역 현안 광역철도망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전달한 바 있다.

임경모 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은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만들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사업인 광역철도망 확충의 필요성과 염원을 부산, 울산, 경남이 함께 간곡히 전달했다"며 "앞으로도 3개 시도는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해 한마음으로 매진하겠다"고 전했다.

/ 장병극 기자
[출처 : 철도경제신문(https://www.redaily.co.kr)]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