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로그인
/
회원가입
/
고객센터
/
철도유관기관 임직원 로그인 방법
/
사이트맵
철도산업정보센터
로그인
/
회원가입
/
고객센터
/
철도유관기관 임직원 로그인 방법
/
사이트맵
철도산업정보센터
철도소식
철도뉴스
철도칼럼
행사일정
정보센터소식
철도산업동향
전문자료
기술자료
논문
연구보고서
안전/사고정보
건설기준
규정
관보
용어사전
차량도감
국내철도현황
취업정보
채용공고
인재정보
직업정보
합격수기
철도관련기관
인재개발
교육과정안내
자격증정보
전자문제집CBT
철도관련대학
레일광장
철도여행
철도사진
지식QnA
철도상식
철도역 정보
철도인 찾기
철도생활서비스
자료공유실
철도역사관
철도통합연표
철도유물유적
역사속철도인
철도사이야기
역사자료
철도역사블로그
철도영상
철도소식
KRiC NEWS
철도뉴스
철도칼럼
행사일정
정보센터소식
철도산업동향
철도소식
철도뉴스
철도뉴스
0
제목
코레일, 열차 전방 2㎞까지 장애물 자동감지 新기술 개발
출처
한국철도공사
등록일
2025.10.17
첨부파일
전방안전검지 장치 시스템 개요.png
코레일, 열차 전방 2㎞까지 장애물 자동감지 新기술 개발
선로 반경 500m 이내 인식…작업자 안전 확보 및 사고 예방 기대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선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열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선보인다.
코레일은 샬롬엔지니어링㈜과 디지털 영상과 첨단 센서 기술을 융합해 '전방안전검지 장치'를 지난달 말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새로 개발된 검지 장치는 열차 전방 최대 2㎞, 선로 반경 500m 이내 장애물을 자동감지하고 위험 요소를 인식해 기관사에게 충돌 위험 경보를 실시간 전달한다.
점검 장치에는 원거리 검측용 영상(VISION) 카메라와 근거리 감지용 라이다(LiDAR) 센서가 적용돼 열차 제동거리보다 더 멀리에 있는 위험 요소를 감지할 수 있다.
영상 장치는 열화상 등 3가지 종류의 카메라를 통해 악천후 상황에서도 작동해 △건널목 장애물 △선로변 작업자 △낙석 △곡선부 사각지대 등 다양한 유형의 충돌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다.
라이다 센서는 레이저로 장애물을 탐지하고 반사시간을 계산해 거리를 측정한다. 정확도가 높고, 빛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야간에도 주간과 동일한 품질의 영상 확보가 가능하다.
코레일은 오는 11월 개발품을 일반열차에 시험 적용해 주행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향후 차종별로 시스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이번 기술 개발은 지난해 7월부터 진행한 한국과 이스라엘의 국제공동연구개발사업인 ‘융합센서를 이용한 선로변 위험요소 감지시스템 개발’ 과제의 결과물로 양국의 민간기업과 협력해 이룬 성과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신기술 개발로 선로 위의 작업자 안전을 근본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더욱 안전한 열차 운행 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목록
정보포털
철도Biz
해외철도
철도통계
철도영상
레일포털
정보포털
철도Biz
해외철도
철도통계
철도영상
레일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