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레일광장 RAIL SQUARE

  • home
  • 레일광장
  • 철도여행

철도여행

  • 제목오송역 스토리웨이 특화편의점 철도굿즈샵 KTX산천 기차키링+조립블럭 구입
  • 등록자박준규
  • 등록일2025.09.18
  • 조회수9
오송역 스토리웨이 특화편의점 철도굿즈샵 KTX산천 기차키링+조립블럭 구입(2025.08.27)


철도굿즈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많습니다만 철도 역사 내 스토리웨이 편의점에서 몇 종류의 철도블럭을 파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025년 3월 7일부터 철도관련 기관 코레일(KORAIL), 국가철도공단(KR), 에스알(SR), 부산교통공사(Busan Transportation Corporation), 코레일유통 5곳이 협력한 철도굿즈샵 트레인메이츠가 서울역과 부산역에서 운영되며 다양한 철도굿즈를 살 수 있게 되었고요.
나아가 스토리웨이 편의점을 특화매장으로 리모델링하며 철도굿즈를 함께 판매하는데요.

▼사진) 2025년 7월에 새롭게 확장, 이전하여 철도굿즈 및 라면코너를 운영하는 스토리웨이 오송역 특화편의점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사진) 2층 맞이방에 위치한 오송역 스토리웨이 특화편의점은 철도문화 콘텐츠와 먹거리를 결합한 복합형 매장인데요.
더욱 공간이 넓어져서 쾌적해진 느낌이 들고요.




▼사진) 안으로 들어가면 70종 이상의 라면과 자동조리기, 시식테이블과 함께 트레인 굿즈 갤러리가 등장합니다.




▼사진) 다른 매장에 없는 체험시설에 시선이 가는데요.
테이블에서 옥스포드 KTX고속열차 블럭은 직접 조립을 할 수 있어서 아이들이 좋아할 것 같아요.






▼사진) 트레인 굿즈 갤러리에서는 현재 코레일 철도블럭(12종), 아크릴마그넷(11종), 코레일 종착역키링(8종), KTX티켓키링(7종), 전문가용 지우개세트(5종), 코레일 미니스티커(2종), 코레일 빅스티커(1종), 코레일 데코스티커(3종), KTX미니키링 파우치(3종), 프린팅 코튼백(3종) 등 다양한 철도굿즈를 판매합니다.




▼사진) 아크릴마그넷은 총 11종을 선보이는데요.
열차 아크릴마그넷(8,500원)은 KTX산천, 무궁화호, KTX청룡, ITX새마을, KTX이음
철도역 아크릴마그넷(8,000원)은 서울역, 부산역, 동대구역, 대전역, 광주송정역, 강릉역을 판매합니다.

코레일 종착역키링(9,000원)은 8종을 판매 중이며, KTX산천(서울/부산), ITX새마을(용산/여수엑스포), KTX(포항/목포), KTX이음(강릉/청량리) 등 같은 열차라도 LED에 다른 종착역이 표기되었고요.
KTX티켓키링(8,500원)의 경우 대전->서울, 서울->부산, 동대구->서울, 청량리->서울, 광주송정->서울, 강릉->서울, 전주->서울 스마트폰 티켓을 표현했습니다.




▼사진) 전문가용 지우개 세트(4개 1세트)(8,500원)은 총 5종으로서 ITX새마을, 무궁화호, KTX이음, KTX청룡, KTX산천이 그려져 있고요.
코레일 미니스티커 역사, 열차(2,500원)
코레일 빅스티커(8,500원)
코레일 데코스티커(3,500원)
KTX미니키링 파우치(22,000원)는 서울역이정표, KTX/무궁화 타는 곳, 부산역이정표 총 3종을 판매합니다.




▼사진) 프린팅 코튼백(27,000원)은 기관차, (구)서울역, 기차패턴 3가지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하이라이트는 코레일 철도블럭인데요.
총 12종류의 철도블럭을 판매하고요.
확장세트는 취급하지 않습니다.
(KTX산천, KTX이음, KTX청룡, ITX청춘 확장세트는 트레인메이츠에서 살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군화물열차 블럭은 판매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판매 중인 코레일블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한국형 고속철도차량 KTX산천
KTX산천은 우리나라의 독자기술을 이용해 일본, 프랑스, 독일에 이어 세계에서 네 번째로 개발한 고속차량으로 2010년 3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차량 앞부분이 우리나라 토종물고기인 산천어의 모습과 닮아서 산천으로 명칭공모를 통해 선정되었으며, 산(山)과 천(川)은 친환경 녹색철도를 뜻하기도 합니다.
공기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몸체는 산천어 형상의 유선형으로 제작되었으며, 두 열차를 하나로 연결하는 중련편성이 가능해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합니다.
KTX산천 조립블럭은 48,000원(758PCS)이며, 용산역 코레일라운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KTX산천 조립블럭 2EA와 확장세트(374PCS/25,000원) 1EA를 사서 연결하면 5량 편성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121,000원).

2. 이제는 우리 기술로 더 빠른 열차가 탄생합니다. 새로운 도약 KTX청룡
동력 분산식으로 가속, 감속 성능이 매우 우수한 KTX청룡은 최고속도가 320km/h로 기존 KTX산천보다 20km/h 정도 더 빨라졌고, 최고속도 도달 시간도 단축되었습니다.
경부선 기준 대전역과 동대구역에서만 정차해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 17분 만에 갈 수 있어 기존보다 18~24분 줄어듭니다.
차체폭이 KTX산천에 비해 넓게 제작되었으며, 좌석간의 간격도 20mm 정도 더 넓어졌고, 통로 길이도 어른 한 뼘 정도가 더 넓어졌습니다.
총 좌석 수는 515석으로 기존 열차 대비 수송효율이 35% 더 높지만 열차 운임은 기존 KTX와 동일합니다.
KTX청룡 조립블럭은 48,000원이며, 코레일 블럭자판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744PCS).
확장세트는 25,000원(330PCS)인데요.
KTX청룡 조립블럭 2EA와 확장세트 1EA를 사서 연결하면 5량 편성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121,000원).

3. KTX이음(EUM)
대한민국 첫 번째 독자 제작 상업용 동력분산식 고속철도

KTX이음은 국가 R&D 사업으로 개발된 시험차량 HEMU-430X의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진 동력분산식 고속차량(최고 260km/h)으로서 가속과 감속 성능이 동력집중식에 비해 훨씬 뛰어납니다.
KTX이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승용차 대비 15%, 디젤기관차 대비 70%에 불과한 저탄소, 친환경 고속열차입니다.
KTX이음 조립블럭은 48,000원이며 카페 스토리웨이가 포함되어 있고요(734PCS).
확장세트는 25,000원(325PCS)인데요.
KTX이음 조립블럭 2EA와 확장세트 1EA를 사서 연결하면 5량으로 편성할 수 있습니다(122,000원).

4. ITX청춘
경춘선 좌석형 급행열차(Intercity train express)-청춘(靑春)

ITX청춘은 도시 간 준고속열차를 뜻하는 영어 약자 ITX와 젊음을 나타내는 단어 청춘을 결합해 지은 이름으로 최고 시속 180km/h의 준고속열차입니다.
ITX청춘은 경춘선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한민국 유일의 2층열차로 편성 중 4호차와 5호차가 2층 객실이며, 안티롤바 채용으로 곡선 통과 시에도 높은 승차감이 유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ITX청춘 조립블럭은 48,000원이며 스토리웨이 자동판매기가 포함되어 있고요(822PCS).
ITX청춘 조립블럭 1EA와 확장세트 1EA를 사서 연결하면 3량으로 편성할 수 있습니다(73,000원).

5. ITX마음
친환경 동력분산식 일반열차(여행의 설렘과 모든 세대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

국민 공모로 결정된 이름의 ITX마음은 2023년 8월 공식 공개된 신형 일반열차로 영업 최고속도는 150km/h, 한 편성 시 4칸(264석) 또는 6칸(392석)으로 구성하거나 4칸 편성 두 대를 연결해 총 528석의 중련복합열차로도 운행 가능합니다.
ITX마음은 동력장치가 전체 객차에 분산된 방식을 사용한 동력분산식 일반열차로, 역 간 거리가 짧은 우리나라 환경에 최적화되어 기존 열차보다 운행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승객도 더 많이 수송할 수 있습니다.
ITX마음 조립블럭은 48,000원(880PCS)이며, 배송트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ITX마음 조립블럭 1EA를 사서 연결하면 4량으로 편성할 수 있습니다(96,000원).

6.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새마을호 디젤동차의 후속 열차로 6량 1편성의 간선형 전기동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014년 5월 경부선을 시작으로 전라선, 경전선 등 지금도 전국 각지를 달리고 있습니다.
다만 전기철도 구간이 아닌 장항선에서는 2018년 4월 이후 무궁화호 객차를 개량한 객차형 무궁화호가 디젤전기기관차에 연결돼 운행하고 있으며 외부도장이나 내부 구조는 ITX새마을과 유사합니다.
ITX새마을 조립블럭은 48,000원이며, 스토리웨이 편의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805PCS).
ITX새마을 조립블럭 1EA를 사서 연결하면 4량으로 편성할 수 있습니다(96,000원).




7. 완행, 열차의 로망, 빨강색과 파란색 도색의 7400호대 일반열차 무궁화호
1984년부터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운송수단이 된 무궁화호 열차는 현재 전기기관차의 편성이 더 많습니다만, 대중들에게 무궁화호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외형이 자석형 도색입니다.
이용료가 저렴하며, KTX가 정차하지 않는 역을 정차한다는 장점이 있어 우리나라의 구석구석을 여행하기 좋습니다.
ITX새마을 조립블럭은 48,000원이며, 고향뜨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731PCS).

8. 서해금빛열차
천혜의 해양생태, 찬란한 역사 문화의 보고 서해안의 풍요로운 관광지를 찾아 떠나는 기차여행

세계 최초 한옥식 온돌마루 좌석을 갖추고, 충청남도 서해안 지방의 장항선을 달리며, 갯벌, 섬, 낙조 등 다양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대한민국 관광열차입니다.
하행 제2551열차, 상행 제2552열차 운행
열차편성 : 1편성(기관차 1량+발전차 1량+객차 5량)
좌석수 : 전체 254석(일반실 200석, 온돌마루 9실(1실당 6석)(54석))
서해금빛열차 조립블럭은 48,000원이며, 스토리웨이 편의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715PCS).

9. 코레일 대한민국 최초전동차(1001호)
대한민국 최초전동차는 수도권 전철 개통 당시인 1974년 8월 15일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1977년부터 최초의 국산 전동차가 제작되어 운행되었습니다.
통근형 전동차로 차체에 승강 계단이 없어 타고 내리는데 편리하고, 차량당 양쪽에 8개의 자동식 출입문으로 통근 시 정차 시간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최초전동차는 개통 당시 경인선(구로~인천), 경부선(서울~수원) 구간을 운행했으며, 최대 속력은 110km/h으로 지상구간에는 교류전압 25,000V를, 지하(서울역~청량리역) 구간에서는 직류전압 1,500V를 사용했습니다.
코레일 대한민국 최초전동차(1001호) 조립블럭은 구로역, 홍익매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48,000원(868PCS)입니다.

10. (미카형) 증기기관차
(미카형) 증기기관차는 1919년에 도입되어 화물, 여객 운송 및 6.25전쟁 당시 군수물자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우리나라 철도 역사의 산 증인입니다.
검은색 바탕에 금색 장식이 조화를 이루며, 증기기관차 특유의 원통형 보일러, 굴뚝, 바퀴 등 주요 구조가 정밀하게 재현되었으며, 증기기관차와 함께 석탄과 물을 적재하는 탄수차(텐더)가 연결되어 클래식한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증기기관차 조립블럭은 48,000원입니다(822PCS).

11. 교외선 열차
교외선은 1961년 일부 구간을 시작으로 1963년 전 구간이 개통되어 여객, 화물 등 운송에 활용된 노선으로서 2004년 여객 운행이 중단된 이후 오랜 시간 시민들의 기억 속에 머물러 있었으나 21년 만인 2025년 1월 11일 운행을 재개했습니다.
교외선은 대곡역(경기도 고양시)에서 출발해 의정부역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30.5km 노선으로서 원릉역, 일영역, 장흥역, 송추역을 경유하고 있고요.
재개통 이후 하루 20회의 열차가 운행되며, 하루 평균 약 504명이 이용하는 등 경기 북부 주민들의 교통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교외선 열차 조립블럭은 일영역이 포함되었으며, 48,000원(759PCS)입니다.

12. 옛 서울역
옛 서울역은 현재까지 출시된 상품 중 유일한 건축물 블럭입니다.
돔형 스테인글라스 지붕, 붉은 벽돌 외벽, 회색 석재 등 섬세한 표현과 함께 창문, 기둥, 장식까지 정교하게 구현되었는데요.
1925년 건립되어 100여 년의 세월을 머금은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로서 현재는 문화역 서울284라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옛 서울역 조립블럭은 48,000원입니다(992PCS).




▼사진) 개인적으로 KTX산천을 좋아합니다.
KTX를 이용할 때도 KTX산천 열차를 골라 탈 정도인데요.
그래서 KTX산천 아크릴마그넷(8,000원)




▼사진) KTX산천 조립블럭(48,000원)을 구입했고요.




▼사진) 오송역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KTX산천 특실에 올라 편안한 좌석에서 기차여행을 만끽하며 무사히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박준규 올림


[출처 : 박준규의 기차여행+버스여행(https://blog.naver.com/sakaman) 2025. 9. 10.]

목록